각종 악세서리
1. 렌즈후드(lens hood)
렌즈에 강한 직사광선이 입사하면 플레어 촬영 시 렌즈에 강한 빛이 직접 입사한 후 경
동의 내부에서 난반사하여 감광유제에 화상의 선명도를 해치는 빛 흐림이 생긴 것을 뜻
하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화상전체나 일부에 뿌옇게 안개 낀 듯한 흐림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화상에 연속적인 조리개 무늬나 광원 모양의 허상이 맺히는 현상도 플레어라 하
며 특히 이를 피사체에 없는 허상이 생겼다는 뜻에서 고스트 이미지라 지칭한다. 플레어
가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태양이나 전구 등 강한 빛이 직접 렌즈에 입사하지 않게
해야 한다. 이때 후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만일 후드가 없다면 손바닥을 펴서 렌즈에
손의 그림자를 만들어 주는 것도 한 방편이다. 또한 플레어를 잘 일으키는 자외선이나
단파장광을 차단하는 필터도 플레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가 생기고 화상의 선명도를 해치게 된다. 사각 밖에서 들어오는 유해광선을 막고 선명
한 화상을 얻기 위해 사용한다.
(1)용도
①하늘, 눈밭, 모래밭, 플레시 촬영, 넓은 풍경, 등에는 강한 반사광이 많으므로 꼭 사용한다.
②눈이나 비가 올 경우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2)사용 시 유의점
① 렌즈의 시계가 잘리지 않을 것 -화각을 가리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렌즈는 35m
렌즈인데 후드가 50m라면 결국 사방의 네 귀퉁이가 잘려나가는 (비네팅) 현상이 생기
게 되는 것이다.
②내면의 반사방지를 위한 검정 칠이 완전한 것
필터를 함께 쓸 수 있는 것
쉽게 끼우고 뺄 수 있는 것
2) 플레시( strobo, speed light, electronic flash)
정식으로는 일렉트로닉 플래시이고 스피드라이트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으로는 스트로
보리서치 회사의 제품이 예로부터 유명하여 그때부터 스트로보하고 칭하게 되었다.
그 발광원리는 다음과 같다. 크세논 가스를 투입한 방전관이 광원으로 사용되며 직류전
류를 콘덴서에 축전 시켜 놓는다.
카메라 측의 셔터와 연동하는 접점에서 전기회로가 형성되어지면 트리거 전극에 고압
의 전류가 흘러 방전관의 크세논가스가 이온화하여 방전하고 수 만분의 1초에서 수백분
의 1초별로 짧은 섬광을 발하도록 되어있다.
전원에는 단 1~3건전지 2~4개, 200볼트 이상의 적층 건전지, 축전지, 교류전원 등 다양
하나 단 1~3건전지로는 한번 교류 화 시켜 승압하여 정류해서 콘덴서에 충전하는 형식
이 많다.
플레시의 광원은 태양광에 가까운 색온도이기에 컬러필름으로는 데일라이트 타입이 적
당하다. 그리고 최근에는 플레시의 자동화가 진전하여 가이드넘버에 따라 카메라 측의
조리개를 일정하게 해두면 피사체에 닿은 빛의 반사를 받아 자동적으로 발광을 정지하
는 자동조광 플레시가 많아졌다.
플레시는 셔터가 열렸을 때 플래시가 터지게 되어야 하는 데 셔터와 플래시가 동시에 작
동하게 (Synchronize)하기 위해서 카메라에 부착된 것과 전기선(Synch cord)으로 연
결되어 있다. 플레시 는 아주 순간적으로 짧은 동안에 밝은 섬광을 나타내기 때문에 셔
터가 충분히 열렸을 때 점화되어야 한다.
리프셔터(렌즈 셔터)인 경우는 카메라의 어떤 셔터 속도에서도 플레시를 사용할 수 있으
나 포컬 플레인 셔터에서는 카메라에 따라서 셔터가 완전히 열리는 시간이 다르며
(1/60, 1/90, 1/125, 1/250 초) 때문에 정해진 셔터 속도보다 느린 셔터를 사용해야 한다.
빛의 성질을 태양광과 같게 데일라이트 (주광, 일광) 6000k°에 맞추어 놓았다. 실내나 어
두운 곳에서 순간적인 섬광을 발하여 촬영에 이용하는 광원이다.
우리가 플레시는 어두운곳에서 촬영할때 사용하는 악세서리라고 보편적으로 생각하
만 플레시는 보조 조명으로사용하기도 하고 스튜디오안에서는 주광으로 사용한다.
야외에서 플레시의 보조광원의 예
*플레시촬영의 예: 나무그늘아래 사람이 서게 되면 얼굴에 나무잎의 그림자가 생긴다 .
이를 없애기 위해 플레시를 사용하면 보다양 질의 사진을 얻을 수있다.
*플레시촬영의 예: 노을을 촬영할때에도 노을에 노출을 맞추고 근거리 인물에 플레시를
발광 시키면 노을과 인물 모두 노출이 맞는 사진을 얻을수 있다.
*플레시촬영의 예: 역광촬영시 플레시를 사용해도 좋은결과를 얻을수있다.
카메라의 바디에 Synch cord를 연결해서 쓰는 방법이 있다.
ⓛ 사용법-스트로보의 사인램프에 불이 켜지면 사용한다.
② 싱크로(동조) 접점은 X를 사용 한다-결과적으로 싱크로 접점이나 동조의 의미는 셔
터가 열린 시간과 플레시가 발광하는 시간의 일치를 말하는 것이다.
카메라마다 적정 동조 스피드가 정해져 있다. 정해진 스피드 아래쪽의 스피드는 사용
할 수 있지만 위쪽으로 사용하게 되면 스트로보가 동조되는 시간 보다 셔터가 닫히는 시
간이 빠르므로 3/1 정도가 촬영이 되지 않는다.
③ 렌즈셔터의 카메라에서는 전 셔터 스피드에서 동조되나 포칼프레인 셔터의 카메라
는 각기 조금의 차이가 있다. 보통은 동조되는(정해진 셔터 속도) 셔터스피드가 붉은 색
으로 써있거나 x라 표시되어 있다. 이를 속도에 맞추거나 X접점에 맞춘다.
④ 부착 방법 -카메라의 팬타 프리즘 위의 핫슈 핫슈(hot shoe, cordless contract
shoe)
카메라의 액세서리슈 속에 플래시 촬영용의 접점을 설치한 것으로 스트로보 쪽의 클립
(clip)에 접점이 있는 것이라면 코드를 접속하지 않고 끼우기만 하면 접점이 접촉에 의해
서 발광시킬 수 있다는 편리함 때문에 최근의 카메라는 핫슈가 부착된 것이 많아졌다.
다이렉트 콘택트슈(direct contact shoe)라고도 한다. 또한, 접점을 늘려서 카메라 쪽과
스트로보와의 정보교환으로 연동기능을 높인 것도 많아지고 있다.
핫슈부분에 장착하여 쓰는 방법과 씽크로 코드를 연결하거나 카메라에 부착된 형태가
있다.
Automatic Strobo- 스트로보 내부에 설치된 자동 조광기구에 의해 스스로 발광이 멈추
도록 설계된 소형 스트로보
조광 시간이 자동으로 조절된다.
섬광시간이 조명 거리에 따라 바뀌므로 근거리에서 1/1000초의 초고속 촬영가능(순간
적인 피사체 포착 가능)
반사조명도 가능 (bounce lighting) - 빛을 부드럽게 해준다.
TTL Auto strobo- 이 경우는 렌즈의 투과 광량, 자동조리개의 연동오차, 렌즈의 화각에
맞는 측정치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⑤플레시의 사용 시 사인램프에 불이 켜진 뒤 사용해야 한다. 필름 감도를 맞춘다.
가이드 넘버(Guide Number)
피사체가 광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그것이 받아들이는 빛의 양은 다르다.(빛
의 양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함)
* 가이드 넘버 가이드 넘버(guide number)
일반적인 기호로는 머리글자를 따서 GN으로 기록한다. 스트로보나 섬광전구의 노출계
수로 노광치를 산출하기 위한 수치이다. GN ÷ 발광거리 = 적정노출의 조리개 GN ÷ 조
리 개 = 발광거리 카메라 위치에서 플래시를 사용한다면 촬영거리는 그대로 발광거리가
된다. 그러나 이 식에서 얻어진 수치는 실내의 밝기나 방의 넓고 좁은 사용상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어디까지나 기준일 뿐이다. 태양광 아래에서 싱크로촬영의 노출계산에서도
가이드넘버가 필요한 데 배경의 노출을 기준으로 셔터속도, 조리개치에 따라서 피사체
가 적정노출이 되도록 발광거리를 계산해 내는 방법이 취해진다. 그러나 최근의 스트로
보에는 밸런스 싱크로나 조광레벨 보정부가 있어 자동적으로 발광 량 을 조절하여 비추
므로 일일이 가이드 넘버를 계산할 필요가 없다.
= F 수치 플래시에서 피사체의 거리 (ASA 100을 기준)
( 즉, F 수치 = 가이드 넘버 플래시에서 피사체의 거리 )
예 1) 가이드 넘버가 20이고 플래시와 피사체 간의 거리가 2.5m, ASA 100인 경우
F 수치= 20÷2.5=8 셔터 속도는 정해진 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선택한다.
※ 적목 현상(red-eye effect)
컬러사진에서 플래시를 사용하여 인물을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인물의 눈이 토끼 눈처
럼 빨갛게 촬영되는 현상을 말한다. 눈이 빨갛게 되는 것은 망막의 모세혈관에 플래시
광이 반사되어 붉게 보이기 때문이며, 야간이나 실내에서 동공이 열려있는 상태의 인물
을 촬영했을 때에 일어나기 쉽다. 이 현상은 렌즈의 광축과 플래시의 광선축이 평행에
가까울 때, 일어나기 쉬우며, 통상 70mm이내는 일어나기 쉽고 90mm이상이 되면 잘 일
어나지 않는다. 또 피사체와 사진기의 거리가 1 ~ 2m에서는 일어나기 어려우며, 그 이
상 떨어지면 잘 일어나는 성질이 있다. 붉은 눈 현상은 클립 온 타입(사진기의 핫슈 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플래시)플래시의 보급에 따라 렌즈의 광축과 플래시의 광선축이 근
접함에 따라 눈에 띄게 늘어났다. 렌즈광축과 플래시의 광선 축 을 떨어뜨리기 어려운
초소형의 포켓 사진기 등에 특히 이 현상이 잘 일어난다. 백목현상도 이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나타나는 것이다 . 동물에게서 많이 일어난다.
※필터(Filter)
필터를 사용하는 목적은 좋은 이미지의 사진을 얻기 위해서 이다. 필터는 한마디로 빛
의 질과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카메라의 악세서리 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필터가 생산되고 각기 활용의 범위가 다르다. 자신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
체에 알맞은 필터를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유리판에 물을 들여 만들거나, 홈을 파서 만드는 등 사용에 알맞게
만들어져있다.
1.UV 필터(Ultraviolt filter)
울트라 바이올렛은 자외선을 말한다. UV 필터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필터로 노출 배수에
는 관계없이 사용된다.
무색에 가까울 정도로 엷은 색의 필터로서 가시광선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자외선만 흡
수. 맑은 날 해변, 설경 등 을 촬영 시 자외선이 많은 장소에서 사용한다. 렌즈 보호용 필
터이므로 언제나 카메라에 장착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2.스카이라이트 필터(Skylight filter)
자외선을 흡수하여 푸른색을 막기 위한 필터이다. 엷은 오렌지색을 하고 있으며, 두 문
자를 따서 SL 필터라고도 한다. 자외선을 방지하고, 녹색과의 일부를 흡수하는 필터이
므로 하늘 묘사에 좋을 뿐만 아니라 흑백필름에도 사용한다.
3. 편광(PL) 필터

편광필터(Polarizing light filter)
강한 광선에서의 반사광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것은 각 방면으로 진동
하고 있는 광선을 한정된 한 면만의 진동편광으로 바꾸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반
사광을 막거나 하늘로부터의 편광을 제거해 준다. 이 필터를 사용하면 하늘을 더욱 푸르
게 촬영할 수 있다. 필터의 각도가 약 30°면 반사광의 제거가 거의 완전하고, 90°면 반사
광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으며, 그 중간의 각도에서는 반사광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
이 좋다. 물 속, 유리 속, 하늘의 흰 구름 표현 등에 사용한다.
편광 필터란 이러한 반사광을 차단하기 위해 편광 막을 필터내부에 삽입한 것이다. 고정
식도 있으나 대부분 회전식이다.
편광필터는 반사광만 제거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하늘색을 더욱 짙게 만들거나
색상을 한층 강하게 할 때에도 효과를 볼 수 있다.
4.소프트 포커스 필터
말 대로 지나치게 샤프한 초점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필터이다. 웨딩포토의 경우처럼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얼굴에 여드름, 주근깨 등이 있어 이
를 커버할 필요가 있는 우 등 주로 인물 촬영 사용한다. 얼굴의 잡티를 제거하는 프로
그램이나 소프트 필터의 효과를 대신할 만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용 소프트웨어 발달로
인해 그 필요성이 많이 줄어든 필터이다.
5. 중회색(ND) 필터
ND(Netural density : 중성 농도) 필터로서 렌즈를 통과하는 빛이 너무 많을 때나 피사
체의 색에 빛이 너무 많을 때, 피사체의 색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투과하는 빛의 양만을
억제시켜 주는 필터이다. 이 필터는 주로 밝은 날에 렌즈의 조리개를 열어서 피사계 심
도를 얕게 하거나 셔텨 속도를 줄여서 피사체의 동적인 표현을 할 때 쓰인다.
특정한 파장 범위 내에서 각 파장에 대해 거의 같은 정도로 투과 량을 감소시켜 색의 균
형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필터 이다.
칼라나 흑백 필름 모두 사용 가능하다.
.
6.색보정 필터(Color compensating filter)
CC 필터라고 불리며, 컬러촬영이나 인화에 있어 컬러 밸런스를 교정하거나 광원의 부족
한 광질 을 보정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컬러 필터를 합니다. 컬러밸런스의 보정이나 형광
등과 같은 휘선 스펙트럼을 가진 광원의 색 보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색 보정 필
터는 황색, 마젠타, 사이언, 청색, 녹색, 적색의 각색으로 농도 로는 40종의 필터가 있어
대부분의 색 조정이 가능하다.
색온도 변환 필터(Color conversion filter)
컬러 필름의 색 온도와 사용하는 광원의 색 온도가 크게 차이가 날 때 이를 일치시킬 목
적으로 사용하는 컬러 필터입니다. 필름 제조회사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컬러 필
름으로 5500K 정도의 데이 라이트(주광)용과 3400K에 맞추어진 텅스텐용 타입 A, 그리
고 3200K에 맞추어진 텅스텐용 타입 B로 분류되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색 온도 변환
필터는 색 온도를 높이기 위한 청색 계열과 낮추기 위한 호박색 계열로 구분되고 있으
며, 필터의 종류는 필터 제조회사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코닥 에서는 청색 계열인 80A,
80B, 80C, 80D와 호박색 계열인 85, 85B, 85C 등이 있다. 이 필터의 효과 같은 경우에는
이미지 편집 그래픽에서도 보정이나,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이용하면 필터를 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블루 필터(Blue filter)
컬러 촬영 시에 색 온도를 상승시켜 붉은 색을 제거하는데 쓰이는 필터로 컨버전 필터
나 LB 필터가 있으며, 컬러 프린트의 색 보정에 이용되는 필터의 청색계도 CC필터의 일
종으로서 황색 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 텅스텐에 의한 촬영에서 적색이 하얗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담청색 필터도 블루 필터의 B라는 기호로 사용되고 있다.
7. 흑백 강조용 필터
색이 있는 필터이다. 흑백 촬영 시 빛의 파장 제한으로 사용되는 색에 따라 묘사되는 느
낌이 달라진다.
①Y1-노랑을 밝게 묘사, 일반 풍경촬영용
②Y2- 원경, 구름, 해안, 산, 설경묘사에 효과적
③Y3- 강조용 필터, 노랑을 희게 파랑을 검게 묘사함
④O1-노랑보다 파장의 흡수 범위가 넓어 강조효과가 더욱 크고 파랑을 강하게 억제함
⑤O2-주황 빨강을 희게 묘사함, 원경 촬영에 좋음
⑥R1- 강조용 필터, 빨강을 희게 , 파랑을 검게 묘사 원경 및 적외선 촬영에 유용하다.
⑦ R2-R1보다 훨씬 효과가 크다.
1. 렌즈후드(lens hood)
렌즈에 강한 직사광선이 입사하면 플레어 촬영 시 렌즈에 강한 빛이 직접 입사한 후 경
동의 내부에서 난반사하여 감광유제에 화상의 선명도를 해치는 빛 흐림이 생긴 것을 뜻
하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화상전체나 일부에 뿌옇게 안개 낀 듯한 흐림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화상에 연속적인 조리개 무늬나 광원 모양의 허상이 맺히는 현상도 플레어라 하
며 특히 이를 피사체에 없는 허상이 생겼다는 뜻에서 고스트 이미지라 지칭한다. 플레어
가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태양이나 전구 등 강한 빛이 직접 렌즈에 입사하지 않게
해야 한다. 이때 후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만일 후드가 없다면 손바닥을 펴서 렌즈에
손의 그림자를 만들어 주는 것도 한 방편이다. 또한 플레어를 잘 일으키는 자외선이나
단파장광을 차단하는 필터도 플레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가 생기고 화상의 선명도를 해치게 된다. 사각 밖에서 들어오는 유해광선을 막고 선명
한 화상을 얻기 위해 사용한다.
(1)용도
①하늘, 눈밭, 모래밭, 플레시 촬영, 넓은 풍경, 등에는 강한 반사광이 많으므로 꼭 사용한다.
②눈이나 비가 올 경우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2)사용 시 유의점
① 렌즈의 시계가 잘리지 않을 것 -화각을 가리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렌즈는 35m
렌즈인데 후드가 50m라면 결국 사방의 네 귀퉁이가 잘려나가는 (비네팅) 현상이 생기
게 되는 것이다.
②내면의 반사방지를 위한 검정 칠이 완전한 것
필터를 함께 쓸 수 있는 것
쉽게 끼우고 뺄 수 있는 것
2) 플레시( strobo, speed light, electronic flash)
정식으로는 일렉트로닉 플래시이고 스피드라이트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으로는 스트로
보리서치 회사의 제품이 예로부터 유명하여 그때부터 스트로보하고 칭하게 되었다.
그 발광원리는 다음과 같다. 크세논 가스를 투입한 방전관이 광원으로 사용되며 직류전
류를 콘덴서에 축전 시켜 놓는다.
카메라 측의 셔터와 연동하는 접점에서 전기회로가 형성되어지면 트리거 전극에 고압
의 전류가 흘러 방전관의 크세논가스가 이온화하여 방전하고 수 만분의 1초에서 수백분
의 1초별로 짧은 섬광을 발하도록 되어있다.
전원에는 단 1~3건전지 2~4개, 200볼트 이상의 적층 건전지, 축전지, 교류전원 등 다양
하나 단 1~3건전지로는 한번 교류 화 시켜 승압하여 정류해서 콘덴서에 충전하는 형식
이 많다.
플레시의 광원은 태양광에 가까운 색온도이기에 컬러필름으로는 데일라이트 타입이 적
당하다. 그리고 최근에는 플레시의 자동화가 진전하여 가이드넘버에 따라 카메라 측의
조리개를 일정하게 해두면 피사체에 닿은 빛의 반사를 받아 자동적으로 발광을 정지하
는 자동조광 플레시가 많아졌다.
플레시는 셔터가 열렸을 때 플래시가 터지게 되어야 하는 데 셔터와 플래시가 동시에 작
동하게 (Synchronize)하기 위해서 카메라에 부착된 것과 전기선(Synch cord)으로 연
결되어 있다. 플레시 는 아주 순간적으로 짧은 동안에 밝은 섬광을 나타내기 때문에 셔
터가 충분히 열렸을 때 점화되어야 한다.
리프셔터(렌즈 셔터)인 경우는 카메라의 어떤 셔터 속도에서도 플레시를 사용할 수 있으
나 포컬 플레인 셔터에서는 카메라에 따라서 셔터가 완전히 열리는 시간이 다르며
(1/60, 1/90, 1/125, 1/250 초) 때문에 정해진 셔터 속도보다 느린 셔터를 사용해야 한다.
빛의 성질을 태양광과 같게 데일라이트 (주광, 일광) 6000k°에 맞추어 놓았다. 실내나 어
두운 곳에서 순간적인 섬광을 발하여 촬영에 이용하는 광원이다.
우리가 플레시는 어두운곳에서 촬영할때 사용하는 악세서리라고 보편적으로 생각하
만 플레시는 보조 조명으로사용하기도 하고 스튜디오안에서는 주광으로 사용한다.
야외에서 플레시의 보조광원의 예
*플레시촬영의 예: 나무그늘아래 사람이 서게 되면 얼굴에 나무잎의 그림자가 생긴다 .
이를 없애기 위해 플레시를 사용하면 보다양 질의 사진을 얻을 수있다.
*플레시촬영의 예: 노을을 촬영할때에도 노을에 노출을 맞추고 근거리 인물에 플레시를
발광 시키면 노을과 인물 모두 노출이 맞는 사진을 얻을수 있다.
*플레시촬영의 예: 역광촬영시 플레시를 사용해도 좋은결과를 얻을수있다.
카메라의 바디에 Synch cord를 연결해서 쓰는 방법이 있다.
ⓛ 사용법-스트로보의 사인램프에 불이 켜지면 사용한다.
② 싱크로(동조) 접점은 X를 사용 한다-결과적으로 싱크로 접점이나 동조의 의미는 셔
터가 열린 시간과 플레시가 발광하는 시간의 일치를 말하는 것이다.
카메라마다 적정 동조 스피드가 정해져 있다. 정해진 스피드 아래쪽의 스피드는 사용
할 수 있지만 위쪽으로 사용하게 되면 스트로보가 동조되는 시간 보다 셔터가 닫히는 시
간이 빠르므로 3/1 정도가 촬영이 되지 않는다.
③ 렌즈셔터의 카메라에서는 전 셔터 스피드에서 동조되나 포칼프레인 셔터의 카메라
는 각기 조금의 차이가 있다. 보통은 동조되는(정해진 셔터 속도) 셔터스피드가 붉은 색
으로 써있거나 x라 표시되어 있다. 이를 속도에 맞추거나 X접점에 맞춘다.
④ 부착 방법 -카메라의 팬타 프리즘 위의 핫슈 핫슈(hot shoe, cordless contract
shoe)
카메라의 액세서리슈 속에 플래시 촬영용의 접점을 설치한 것으로 스트로보 쪽의 클립
(clip)에 접점이 있는 것이라면 코드를 접속하지 않고 끼우기만 하면 접점이 접촉에 의해
서 발광시킬 수 있다는 편리함 때문에 최근의 카메라는 핫슈가 부착된 것이 많아졌다.
다이렉트 콘택트슈(direct contact shoe)라고도 한다. 또한, 접점을 늘려서 카메라 쪽과
스트로보와의 정보교환으로 연동기능을 높인 것도 많아지고 있다.
핫슈부분에 장착하여 쓰는 방법과 씽크로 코드를 연결하거나 카메라에 부착된 형태가
있다.
Automatic Strobo- 스트로보 내부에 설치된 자동 조광기구에 의해 스스로 발광이 멈추
도록 설계된 소형 스트로보
조광 시간이 자동으로 조절된다.
섬광시간이 조명 거리에 따라 바뀌므로 근거리에서 1/1000초의 초고속 촬영가능(순간
적인 피사체 포착 가능)
반사조명도 가능 (bounce lighting) - 빛을 부드럽게 해준다.
TTL Auto strobo- 이 경우는 렌즈의 투과 광량, 자동조리개의 연동오차, 렌즈의 화각에
맞는 측정치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⑤플레시의 사용 시 사인램프에 불이 켜진 뒤 사용해야 한다. 필름 감도를 맞춘다.
가이드 넘버(Guide Number)
피사체가 광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그것이 받아들이는 빛의 양은 다르다.(빛
의 양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함)
* 가이드 넘버 가이드 넘버(guide number)
일반적인 기호로는 머리글자를 따서 GN으로 기록한다. 스트로보나 섬광전구의 노출계
수로 노광치를 산출하기 위한 수치이다. GN ÷ 발광거리 = 적정노출의 조리개 GN ÷ 조
리 개 = 발광거리 카메라 위치에서 플래시를 사용한다면 촬영거리는 그대로 발광거리가
된다. 그러나 이 식에서 얻어진 수치는 실내의 밝기나 방의 넓고 좁은 사용상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어디까지나 기준일 뿐이다. 태양광 아래에서 싱크로촬영의 노출계산에서도
가이드넘버가 필요한 데 배경의 노출을 기준으로 셔터속도, 조리개치에 따라서 피사체
가 적정노출이 되도록 발광거리를 계산해 내는 방법이 취해진다. 그러나 최근의 스트로
보에는 밸런스 싱크로나 조광레벨 보정부가 있어 자동적으로 발광 량 을 조절하여 비추
므로 일일이 가이드 넘버를 계산할 필요가 없다.
= F 수치 플래시에서 피사체의 거리 (ASA 100을 기준)
( 즉, F 수치 = 가이드 넘버 플래시에서 피사체의 거리 )
예 1) 가이드 넘버가 20이고 플래시와 피사체 간의 거리가 2.5m, ASA 100인 경우
F 수치= 20÷2.5=8 셔터 속도는 정해진 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선택한다.
※ 적목 현상(red-eye effect)
컬러사진에서 플래시를 사용하여 인물을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인물의 눈이 토끼 눈처
럼 빨갛게 촬영되는 현상을 말한다. 눈이 빨갛게 되는 것은 망막의 모세혈관에 플래시
광이 반사되어 붉게 보이기 때문이며, 야간이나 실내에서 동공이 열려있는 상태의 인물
을 촬영했을 때에 일어나기 쉽다. 이 현상은 렌즈의 광축과 플래시의 광선축이 평행에
가까울 때, 일어나기 쉬우며, 통상 70mm이내는 일어나기 쉽고 90mm이상이 되면 잘 일
어나지 않는다. 또 피사체와 사진기의 거리가 1 ~ 2m에서는 일어나기 어려우며, 그 이
상 떨어지면 잘 일어나는 성질이 있다. 붉은 눈 현상은 클립 온 타입(사진기의 핫슈 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플래시)플래시의 보급에 따라 렌즈의 광축과 플래시의 광선축이 근
접함에 따라 눈에 띄게 늘어났다. 렌즈광축과 플래시의 광선 축 을 떨어뜨리기 어려운
초소형의 포켓 사진기 등에 특히 이 현상이 잘 일어난다. 백목현상도 이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나타나는 것이다 . 동물에게서 많이 일어난다.
※필터(Filter)
필터를 사용하는 목적은 좋은 이미지의 사진을 얻기 위해서 이다. 필터는 한마디로 빛
의 질과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카메라의 악세서리 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필터가 생산되고 각기 활용의 범위가 다르다. 자신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
체에 알맞은 필터를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유리판에 물을 들여 만들거나, 홈을 파서 만드는 등 사용에 알맞게
만들어져있다.
1.UV 필터(Ultraviolt filter)
울트라 바이올렛은 자외선을 말한다. UV 필터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필터로 노출 배수에
는 관계없이 사용된다.
무색에 가까울 정도로 엷은 색의 필터로서 가시광선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자외선만 흡
수. 맑은 날 해변, 설경 등 을 촬영 시 자외선이 많은 장소에서 사용한다. 렌즈 보호용 필
터이므로 언제나 카메라에 장착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2.스카이라이트 필터(Skylight filter)
자외선을 흡수하여 푸른색을 막기 위한 필터이다. 엷은 오렌지색을 하고 있으며, 두 문
자를 따서 SL 필터라고도 한다. 자외선을 방지하고, 녹색과의 일부를 흡수하는 필터이
므로 하늘 묘사에 좋을 뿐만 아니라 흑백필름에도 사용한다.
3. 편광(PL) 필터

편광필터(Polarizing light filter)
강한 광선에서의 반사광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것은 각 방면으로 진동
하고 있는 광선을 한정된 한 면만의 진동편광으로 바꾸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반
사광을 막거나 하늘로부터의 편광을 제거해 준다. 이 필터를 사용하면 하늘을 더욱 푸르
게 촬영할 수 있다. 필터의 각도가 약 30°면 반사광의 제거가 거의 완전하고, 90°면 반사
광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으며, 그 중간의 각도에서는 반사광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
이 좋다. 물 속, 유리 속, 하늘의 흰 구름 표현 등에 사용한다.
편광 필터란 이러한 반사광을 차단하기 위해 편광 막을 필터내부에 삽입한 것이다. 고정
식도 있으나 대부분 회전식이다.
편광필터는 반사광만 제거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하늘색을 더욱 짙게 만들거나
색상을 한층 강하게 할 때에도 효과를 볼 수 있다.
4.소프트 포커스 필터
말 대로 지나치게 샤프한 초점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필터이다. 웨딩포토의 경우처럼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얼굴에 여드름, 주근깨 등이 있어 이
를 커버할 필요가 있는 우 등 주로 인물 촬영 사용한다. 얼굴의 잡티를 제거하는 프로
그램이나 소프트 필터의 효과를 대신할 만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용 소프트웨어 발달로
인해 그 필요성이 많이 줄어든 필터이다.
5. 중회색(ND) 필터
ND(Netural density : 중성 농도) 필터로서 렌즈를 통과하는 빛이 너무 많을 때나 피사
체의 색에 빛이 너무 많을 때, 피사체의 색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투과하는 빛의 양만을
억제시켜 주는 필터이다. 이 필터는 주로 밝은 날에 렌즈의 조리개를 열어서 피사계 심
도를 얕게 하거나 셔텨 속도를 줄여서 피사체의 동적인 표현을 할 때 쓰인다.
특정한 파장 범위 내에서 각 파장에 대해 거의 같은 정도로 투과 량을 감소시켜 색의 균
형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필터 이다.
칼라나 흑백 필름 모두 사용 가능하다.
.
6.색보정 필터(Color compensating filter)
CC 필터라고 불리며, 컬러촬영이나 인화에 있어 컬러 밸런스를 교정하거나 광원의 부족
한 광질 을 보정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컬러 필터를 합니다. 컬러밸런스의 보정이나 형광
등과 같은 휘선 스펙트럼을 가진 광원의 색 보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색 보정 필
터는 황색, 마젠타, 사이언, 청색, 녹색, 적색의 각색으로 농도 로는 40종의 필터가 있어
대부분의 색 조정이 가능하다.
색온도 변환 필터(Color conversion filter)
컬러 필름의 색 온도와 사용하는 광원의 색 온도가 크게 차이가 날 때 이를 일치시킬 목
적으로 사용하는 컬러 필터입니다. 필름 제조회사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컬러 필
름으로 5500K 정도의 데이 라이트(주광)용과 3400K에 맞추어진 텅스텐용 타입 A, 그리
고 3200K에 맞추어진 텅스텐용 타입 B로 분류되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색 온도 변환
필터는 색 온도를 높이기 위한 청색 계열과 낮추기 위한 호박색 계열로 구분되고 있으
며, 필터의 종류는 필터 제조회사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코닥 에서는 청색 계열인 80A,
80B, 80C, 80D와 호박색 계열인 85, 85B, 85C 등이 있다. 이 필터의 효과 같은 경우에는
이미지 편집 그래픽에서도 보정이나,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이용하면 필터를 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블루 필터(Blue filter)
컬러 촬영 시에 색 온도를 상승시켜 붉은 색을 제거하는데 쓰이는 필터로 컨버전 필터
나 LB 필터가 있으며, 컬러 프린트의 색 보정에 이용되는 필터의 청색계도 CC필터의 일
종으로서 황색 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 텅스텐에 의한 촬영에서 적색이 하얗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담청색 필터도 블루 필터의 B라는 기호로 사용되고 있다.
7. 흑백 강조용 필터
색이 있는 필터이다. 흑백 촬영 시 빛의 파장 제한으로 사용되는 색에 따라 묘사되는 느
낌이 달라진다.
①Y1-노랑을 밝게 묘사, 일반 풍경촬영용
②Y2- 원경, 구름, 해안, 산, 설경묘사에 효과적
③Y3- 강조용 필터, 노랑을 희게 파랑을 검게 묘사함
④O1-노랑보다 파장의 흡수 범위가 넓어 강조효과가 더욱 크고 파랑을 강하게 억제함
⑤O2-주황 빨강을 희게 묘사함, 원경 촬영에 좋음
⑥R1- 강조용 필터, 빨강을 희게 , 파랑을 검게 묘사 원경 및 적외선 촬영에 유용하다.
⑦ R2-R1보다 훨씬 효과가 크다.
'포토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름다운 열두 달 우리말 이름 (0) | 2006.03.07 |
---|---|
아름다운 주제들 (0) | 2006.03.02 |
[스크랩] [참고] 제품촬영 반사광을 이용하자..... (0) | 2006.01.07 |
셔터에 관하여 (0) | 2005.12.16 |
[스크랩] [포토샵강좌‥도트] 팥빙수 도트 찍어보기 (0) | 2005.12.11 |